
2025 국제축구연맹(FIFA) 클럽 월드컵에서 유럽 강호 아틀레티코 마드리드가 충격적인 조별리그 탈락을 맞이했다.
마지막 경기에서 값진 승리를 거두고도 골득실에서 밀려 16강 진출이 좌절됐다.
아틀레티코 마드리드는 6월 24일(한국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패서디나의 로즈 볼 스타디움에서 열린 B조 조별리그 3차전에서 브라질의 보타포구를 1대0으로 꺾었다.
그러나 이 승리는 16강행으로 이어지지 못했다.
조별리그 최종 성적에서 파리 생제르맹(PSG), 보타포구, 아틀레티코가 나란히 2승 1패로 동률을 이뤘지만, 골득실에서 아틀레티코가 -1로 밀려 조 3위로 탈락했다.
이날 승리에도 웃지 못한 이유는 조별리그 첫 경기에서 당한 충격적인 패배였다.
아틀레티코는 이강인이 속한 PSG와의 1차전에서 무기력한 경기 끝에 0대4로 완패했고, 이 대패가 결국 조별리그 전체 흐름을 뒤틀었다.
이후 시애틀과 보타포구를 차례로 잡으며 반전을 노렸지만, 이미 벌어진 득실차 격차는 좁히기에 역부족이었다.
경기 전부터 다득점이 절실했던 아틀레티코는 공격적인 4-4-2 전술로 나섰다.
훌리안 알바레스와 알렉산더 쇠를로트가 투톱으로 배치됐고, 앙투완 그리즈만도 측면과 중앙을 오가며 공격을 주도했다.
반면 보타포구는 알렉스 텔레스, 알란 등 유럽 무대 경험이 풍부한 선수들을 앞세운 4-3-3 전형으로 수비를 단단히 다졌다.
공격적으로 밀어붙인 아틀레티코는 총 23개의 슈팅을 기록하며 보타포구를 괴롭혔다.
그러나 보타포구는 200경기 중 단 3경기에서만 3실점 이상을 허용했을 정도로 조직력이 뛰어난 수비진을 보유한 팀이었다.
촘촘한 수비망을 좀처럼 뚫기 어려웠고, 득점이 필요할수록 아틀레티코의焦燥는 짙어졌다.
결국 후반 42분 알바레스가 페널티박스 좌측에서 개인기로 상대 수비를 제친 뒤 반대편 그리즈만에게 정확한 패스를 연결했고, 그리즈만이 이를 침착하게 마무리하며 선제골을 뽑아냈다.
그러나 이 골이 이날 경기의 유일한 득점이자 아틀레티코의 마지막 희망이 되었다.
득점 직후에도 총공세에 나섰지만 추가골은 끝내 나오지 않았다.
골키퍼 얀 오블락은 이날 4차례의 슈퍼세이브를 기록하며 팀을 위기에서 구해냈고, 경기 후 축구 통계매체 풋몹으로부터 팀 내 최고 평점 8.6을 받았다.
하지만 골문을 지킨 오블락의 분투에도 불구하고 공격진의 마무리가 아쉬운 경기였다.
아틀레티코의 탈락은 대회 초반부터 주목을 받았던 유럽 강호의 조기 탈락이라는 점에서 더 큰 충격을 안겼다.
현지 매체 20미누토스도 “아틀레티코가 조별리그를 뚫지 못했다는 것은 이변”이라며 “1차전 대패가 모든 것을 바꿔놓았다”고 보도했다.
반면 이강인이 활약 중인 PSG는 2승 1패, 골득실 +5로 조 1위를 차지하며 16강 진출에 성공했다. 보타포구도 2승 1패이지만 골득실 +1로 턱걸이 2위를 확보해 극적으로 다음 라운드에 합류했다.
아틀레티코는 이들과 같은 승점에도 불구하고 -1이라는 결과에 고개를 숙였다.
이번 대회는 클럽 월드컵의 규모가 확대된 첫 시즌으로, 유럽과 남미의 강호들이 초반부터 충돌하면서 긴장감이 높아졌다.
아틀레티코의 탈락은 대회에 남은 팀들에게도 경각심을 불러일으킬 결과로 기록될 전망이다.
김용현 (kor3100@sabanamedi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