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일 오후 9시 52분경 대전 유성구 KAIST 응용공학동 5층에서 실험 도중 폭발과 함께 화재가 발생해 학생 1명이 중상을 입는 사고가 발생했다.
5일 대전유성소방서에 따르면, 사고 당시 실험실 내부에서는 아세톤, 디클로로메탄, 에탄올 등 인화성 물질을 이용한 실험이 진행 중이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이 사고로 인해 20대 중반의 KAIST 학생 A씨가 유리 파편이 눈을 비롯해 얼굴과 몸에 박히는 중상을 입었으며, 얼굴 전체에 큰 상처와 등, 왼손에 2도 화상을 입고 병원으로 긴급 이송됐다.
대전유성소방서에 따르면, A씨는 생명에 지장이 있는 상태는 아니지만 눈 치료가 시급한 상태였으며, 사고 당시 야간 수술을 집도할 안과 전문의를 확보하지 못해 치료에 어려움을 겪었다.
서울 이송 가능성까지 검토된 것으로 알려졌다.
신고를 받은 소방당국은 소방차 등 장비 25대와 소방대원 60명을 투입해 진화에 나섰고, 약 30여 분 만인 오후 10시 25분경 불을 완전히 껐다.
화재 당시 건물 내 4층과 5층에 있던 약 30명의 인원이 긴급 대피했으며, 이 과정에서 연기를 흡입한 4명이 있었으나 병원까지 이송되지는 않았다.
사고 직후 현장을 조사한 황인영 대전유성소방서 수사관은 “A씨의 생명이 위독한 것은 아니지만 유리 조각 등 다수의 파편이 A씨 눈, 얼굴 등 몸에 박혀 눈 치료가 매우 시급한 상황이었다”고 밝혔다.
소방당국은 현재까지의 정황을 바탕으로 아세톤 등 유기화합물을 사용한 실험 중 발생한 폭발이 화재 원인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 있다.
오는 10일 자세한 사고 경위와 피해 규모를 추가로 조사할 계획이다.
박세준 (karung2@sabanamedia.com) 기사제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