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방송인 겸 MBC 아나운서 임현주가 ‘노키즈존’ 에 대한 소신을 밝혔다.
임 아나운서는 1일 인스타그램을 통해 “아이들이 떠들고 우는 모습들이 ‘민폐‘라고 납작하게 규정되고 그런 시선들이 쌓이면 아이는 ‘배제되어도 괜찮은 존재’처럼 내면화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임 아나운서는 이어 “만약 ’30대 남성 출입 금지’, ’20대 여성 출입 금지’, ‘어르신 금지’라는 문구를 보면 황당하지 않을까 상상해볼 수 있지 않겠느냐”라 말했다.
그는 부모로서의 입장도 함께 전했다.
그는 “저 역시 아이가 태어나기 전부터 ‘아이랑 갈 수 있는 곳이 많은데 거길 가면 되지, 굳이 왜?’와 같은 조심성이 내제되어 있었다”고 털어놨다.
그러나 실제로는 “아이를 보고 말을 걸어오거나 웃어주는 얼굴들을 훨씬 더 많이 마주하게 된다”며
“이 간극의 정체는 뭘까 신기했고 아이와의 외출이 더는 긴장의 순간이 아니게 됐다”고 덧붙였다.
며칠 전 외식 중 겪었던 일화도 공개했다.
임 아나운서는 “며칠 전 아이 둘을 데리고 간 식당에서 아이들이 동시에 칭얼대기 시작해 밥을 먹을 틈이 생기질 않아 진땀이 나면서 아이 둘과 외식은 사치였나 후회가 슬쩍 밀려왔다” 고 당시 상황을 떠올렸다.
그녀는 “그때 옆 테이블에 있던 어머님이 저희가 밥을 먹을 수 있게 아이를 돌봐 주겠다면서 둘째를 안아 주셨다”며 “무척 감사했고 이후로도 내내 생각이 났다”고 말했다.
이어 “옛말처럼 공동체가 아이를 키우는 것, 아이와 부모와 아이를 바라보는 사람들 모두에게 이런 경험이 쌓이면 아이를 바라보고 대하는 많은 것들이 달라지지 않을까 생각해 본다”고 말했다.
앞서 임 아나운서는 전날 오랜만에 찾은 카페에서 노키즈존 안내를 받았던 경험을 공개했다.
게시글에는 “막상 아이와 어디든 가면 ‘요즘 아이 보기 귀하다’며 반짝이는 눈으로 웃는 얼굴을 더 많이 보는데 소위 힙한 곳에는 왜 아이가 갈 수 없을까”라는 글을 남긴 바 있다.
임 아나운서는 “저 역시 노키즈존이 생긴 이유를 이해하고 있고, 어느새 익숙해졌으며 아이와 외출할 땐 가게 출입 가능 여부부터 검색하는 게 자연스러워졌다.”면서도
“가끔 깜빡할 때도 있는데 어제는 유독 그 현실이 크게 다가왔다”고 밝혔다.
박세준 (karung2@sabanamedia.com) 기사제보